back to top
ENGLISH 中文 日本語
21.1 C
Seoul
2025년 9월 14일 오전 7:06
More

    김경순

    실존은 본질보다 앞선다.
    0 게시물

    -

    0 코멘트

    백제 : 12대 계왕, 고이계의 종말

    제 12 대 계왕 분하게 죽은 분서왕의 장남으로, 강직하고 용감하며 승마와 궁술 모두에 능했다고 한다. 비류왕이 재위 40년 만에 죽자, 빼앗겼던 왕위을 되찾아, 고이왕계를 다시 부활 시켰으나, 2년 만에 비류왕의 아들, 근초고왕에게...

    백제 : 11대 비류왕, 초고계의 부활

    제 11 대 비류왕 분서왕이 분사한 후 왕위를 이었는데 ,힘이 세고 활을 잘 쏘았으며, 성품은 인자하고 너그러웠다고 한다.기록에는, 왕이 되자마자 고이왕에게 축출당한, 사반왕의 동생이라고 하지만, 사반왕과는 나이가 70년 이상 차이가 난다. 시조 온조왕의 형 비류와 이름이...

    백제 : 10 대 분서왕, 분사하다.

    제 10 대 분서왕 어려서부터 똘똘하고 몸가짐이 발라 아버지 책계왕의 사랑을 받았고,부왕이 전사하자 왕위를 물려받은 후, 살부의 원수 낙랑과 치열하게 싸웠다.재위 7년째에 낙랑군의 서쪽 현을 점령하였는데, 그 이후 자객에 의해 바로 살해되었다.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백제 : 9대 책계왕, 전장에 지다.

    제 9 대 책계왕 고이왕의 맏아들로, 체구가 장대하고 의지가 굳세었다고 한다. 북방의 위협에 대한 대비로 위례성, 아차성, 사성 등을 수리 또는 수축하였다.왕비는 대방왕의 딸 보과인데, 고이왕 외교의 결실일 것이고, 고구려의 침입을 받은 대방에 구원군을 파견하여...

    백제 : 8 대 고이왕, 진짜 시작

    제 8 대 고이왕 출신이 가장 불확실한 양반으로, 온조계의 방계 또는 비류계라는 설이 있고,심지어는 소서노의 전 남편인 우태라는 믿기 힘든 설도 있다.무려 53년간 재위했다 하는데, 이것도 믿기 힘들고. 대륙백제도 건설했다는 설도 있는데, 이건 더 믿기...

    백제 : 7 대 사반왕, 안습의 군주

    제 7 대 사반왕 구수왕의 맏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마자, 숙부인 고이왕에 의해 폐위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워낙 재위 기간이 짧아서인지, 우리 역사에 존재하는 왕들 중 기록이 가장 적고, 삼국사기에서는 왕으로 취급하지도 않는다. 그런데 사반왕의 폐위는...

    백제 : 6 대 구수왕

    제 6 대 구수왕 초고왕의 맏아들로 키가 7척에, 풍채가 빼어났으며 비범했다고 한다.재위 기간은 21년. 구수왕의 치세에 대한 기록도 말갈, 신라 등과의 전투가 대부분으로, 주로 신라의 내해 이사금과 치고 받았다.말년에는 거의 자연재해로 얼룩지는데,자연재해는 강력한 전제 왕권 치하에서도...

    백제 : 5 대 초고왕

    제 5 대 초고왕 개루왕의 맏아들로 무려 49년이나 재위했다는데,이 양반은 묘하게도, 루자 돌림의 비류계 왕통이 아니라 온조계 왕통이라고 한다.실제로 이런 왕통이 존재했는지는 의문이지만, 아무튼 집권 세력의 교체를 의미하는 것일 수는 있는데, 그렇게 되면 이번에는 초고왕과...

    백제 : 4 대 개루왕

    제 4 대 개루왕 무려 39년이나 재위했다고 하는데 기록이 별로 없다. 그나마 눈에 띠는 것은 산성을 축조했고, 신라의 반역자 아찬 길선의 망명을 받아주는 바람에 아달라 이사금과 싸웠다는 정도인데,나라에 이득도 없는 배반자의 망명을 받아 주었다고, 김부식에게 욕을...

    백제 : 3 대 기루왕

    제 3 대 기루왕 루자 돌림의 두번째 왕이다.다루왕의 큰아들로 태자 생활을 47년간 하고 왕위에 올라 52년간 재위했다는데, 말도 안되는 이야기이고.신라와 적대하다 화친하고 다시 적대하고... 엎치락 뒤치락하였다 한다.말갈과도 열심히 싸웠을 것이다.별로 눈에 띠는 기록은 없으나 천재지변이 많았고,...

    백제 : 2대 다루왕

    제 2 대 다루왕 온조왕의 아들로 알려져 있으나, 이어진 루자 돌림 왕들의 시작으로, 비류계 왕통의 시조로도 본다.그런데 온조의 아들이면 온조계지 왜 비류계라는 말이 나올까?기록이 부실하니 나름대로 추리를 해보면,소서노의 전 남편 우태는 북부여 왕 해부루의 아들이었다고...

    백제 : 시조 온조왕

    여러 가지 설이 있어서, 추모(주몽)왕의 친아들인 지는 확실치 않다.친아들이든 아니든, 어느 쪽으로도 첫째가 아니므로 왕위와는 좀 거리가 있는 신분이었으나, 복잡하고 사연이 많은 과정 끝에, 어머니 소서노가 일족과 더불어 남하하였고, 일행이 서식지 문제로 분란이 생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