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완뉴스=사무처] 청년기는 삶의 방향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대한 시기다. 혼란과 가능성이 공존하는 이 시기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조언이 아닌, 체계적이고 진정성 있는 통찰이다. 본지의 채진우 칼럼니스트는 바로 그런 목소리를 담아내는 칼럼으로 주목받고 있다.
채 칼럼니스트는 미국 피플대학원에서 전문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 이후, 말레이시아 매니팔 글로벌넥스트 대학원 전문경영학 박사 과정을 밟으며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지식인으로 성장했다. 그는 “사회 변화 속 청년들이 겪는 내적 갈등과 현실적 도전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칼럼으로 풀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칼럼은 단순한 조언이나 나열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연구와 상담 사례에 기반한 실질적인 지침이 주를 이룬다. 대표적으로 “청소년과 청년기의 정체성 탐색, 미래를 위한 목표 설정과 SMART 기법의 활용” 칼럼에서는 청년기 자아 정립의 중요성과 함께,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 설정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막연한 불안감에 시달리는 청년들에게 명확한 방향성을 제공한다. 목표 설정의 이론으로 알려진 SMART 기법(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달성가능하고, 관련성이 있으며, 시간 제한이 있는 목표 설정 방식)은 그가 강조하는 실천 중심적 접근의 대표적인 예다.
아울러, “스트레스 관리와 자기 돌봄”에서는 현대 청년들이 겪는 심리적 압박에 주목하며, 외부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뿐 아니라, 스스로에게 가하는 무의식적인 기대와 비교심리에서 비롯된 피로감을 짚어냈다. 그는 회복과 성장이라는 키워드 아래, 자기 돌봄(self-care)을 단순한 휴식의 개념이 아닌 ‘자기 존중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으로 제안했다. 이러한 시선은 청년 독자들로 하여금 일상 속에서 자신을 보다 단단하게 돌볼 수 있는 실천적 통찰을 제공한다.
또한 청년들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하여 “정직한 내면과 사회적 감수성을 필요로 한다. 나는 글을 통해 그 가능성을 함께 고민하고 응원하는 동료이고 싶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그의 칼럼을 읽어보면 단호함과 따뜻함이 공존하며 때로는 구조적인 문제를 직시해 목소리를 높였고 한편으로는 독자의 내면에 조용히 손을 얹는 듯한 어조로 공감과 위로를 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단순한 비평을 넘어 실질적인 사회 변화를 꾀하고 싶다고 밝혔다. 향후 본지를 통해 청년 세대의 성장과 회복, 그리고 삶의 가치에 대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할 계획이다. 칼럼이라는 형식을 통해 사회와의 건강한 소통을 꿈꾸는 그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채 칼럼니스트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주관한 ‘2030 청렴인재 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어 국민권익위원회 표창과 함께 대상이라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사무처